Skip to content

용어집

심박수

심박수는 단순히 심장이 얼마나 빨리 박동하는지 나타냅니다. 분당 박동수로 표현되며, 신체 활동 중 노력의 강도를 이해하기 위해 주로 사용됩니다.

심박수 존

이 영역을 가이드로 사용하여 노력의 강도를 계속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심박수 존을 사용하여 목표를 설정하고, 운동을 계획하며, 자신의 퍼포먼스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VO2max

이 수치는 현재 심폐의 건강 수준을 나타냅니다. 산소를 흡입하여 근육으로 운반하고 유산소 운동을 통해 영양소를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최대 속도입니다.

트레이닝 효과

트레이닝 효과 점수(0.0-5.0)는 현재 운동이 향후의 유산소 및 무산소 운동 퍼포먼스를 개발하는 데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한 실시간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달리기 유형 일반적인 유산소 TE 일반적인 무산소 TE
천천히 긴 거리 2.0~3.0 유산소 체력 유지 0 무산소 효과 없음
20분 역치 달리기 3.5+ 젖산 역치 개선 0 무산소 효과 없음
젖산 역치 인터벌 3.0+ 젖산 역치 개선 0~2.0 경미한 무산소 효과
150~200% VO2max로 스프린트 인터벌 10 x 50미터 0~2.0 경미한 유산소 효과 2.0~3.0 스피드 유지
100~105% VO2max로 스프린트 인터벌 10 x 400미터 2.0~4.0 유산소 체력 유지 3.0~4.0 효율 및 무산소 체력 개선
110~105% VO2max로 스프린트 인터벌 10 x 400미터 2.0~4.0 VO2max 개선 4.0+ 무산소 체력 대폭 개선
800m 레이스 2.0+ 유산소 체력 유지 2.5+ 무산소 체력 유지
5K 레이스 3.5+ VO2max 개선 1.0~2.0 경미한 무산소 효과
10K 레이스 4.0+ VO2max 대폭 개선 0.0~2.0 경미한 무산소 효과

유산소 트레이닝

유산소 트레이닝은 심장, 폐 및 근육 기능을 개선하는 데 필요한 강도와 지속 시간을 유지하면서 수행하는 모든 유형의 신체 활동입니다. 지구력 강화의 필수 요소입니다.

무산소 트레이닝

무산소 트레이닝은 유산소 운동의 수준을 초과하는 에너지가 필요한 고강도 운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입니다. 단거리, 인터벌 운동, 스포츠 퍼포먼스와 관련이 있습니다.

회복 시간

적절한 회복을 통해 운동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이 카운트다운 타이머는 각 운동이 끝날 때마다 업데이트되며 언제 다음 고강도 운동을 하면 좋을지 알려줍니다.

트레이닝 강도

지난 7일 동안 기록된 모든 활동을 결합한 생리계통이 하나의 숫자로 표시됩니다. 개인의 수준에 적합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운동 수준에 대한 안내를 제공합니다.

트레이닝 상태

트레이닝 강도 데이터의 추세를 사용하여 VO2max 피트니스의 변경을 해석합니다. 언제 트레이닝 효과가 최고이며 언제 가장 효과가 적은지, 언제 트레이닝의 강도가 최고조인지, 그리고 회복 시기와 디트레이닝 상황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elect a l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