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레이닝 모드

런 타임(트레이닝 모드) 중에 표시된 세 개의 화면에서 항목을 사용자 지정할 수 있습니다.
[SPLIT TIME] | 스플릿 타임 |
[DISTANCE] | 달리기 거리 |
[PACE] | 페이스 |
[LAP TIME] | 랩 타임 |
[LAP DISTANCE] | 랩 거리 |
[LAP PACE] | 랩 페이스 |
[AVG.PACE] | 평균 페이스 |
[SPEED] | 스피드 |
[AVG.SPEED] | 평균 스피드 |
[CALORIES]* | 소모된 칼로리 |
[HR] | 심박수 |
[AVG.HR] | 평균 심박수 |
[GRADE] | 등급 |
[ALTITUDE] | 고도 |
[ASCENT] | 총 상승 |
[DESCENT] | 총 하강 |
[ASC PACE] | 상승 페이스 |
[DSC PACE] | 하강 페이스 |
[TIME] | 시간 |
[DATE] | 일 |
*심박수 측정이 활성화된 경우 소모된 칼로리는 심박수를 기준으로 계산되며 디스플레이에 표시됩니다.
트레이닝 로그

아래 항목은 트레이닝 로그 화면에 표시됩니다.
[DISTANCE] | 달리기 거리 |
[TIME] | 이동 시간 |
[PACE] | 페이스 |
[CALORIES] | 소모된 칼로리 |
[CADENCE] | 페달 회전 수 |
[ASCENT] | 총 상승 |
[DESCENT] | 총 하강 |
[AVG.HR] | 평균 심박수 |
[MAX.HR] | 최대 심박수 |
[AEROBIC TE] | 유산소 트레이닝 효과 값* |
[ANAEROBIC TE] | 무산소 트레이닝 효과 값* |
*트레이닝 효과는 트레이닝 생산성을 정량화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맞는 트레이닝 활동을 찾을 수 있게 해줍니다.
트레이닝 효과 값 해석
값 | 의미: |
0.0 - 0.9 | 체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
1.0 - 1.9 | 지구력을 향상하고 1시간 이상 트레이닝 시 건강 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하드 트레이닝에서 회복 시 적합합니다. |
2.0 - 2.9 | 심장 기능을 유지하고 기본 체력 유지에 효과적입니다. |
3.0 - 3.9 | 심폐 기능을 유지하는 데 효과적이며 트레이닝 계획의 기초입니다. |
4.0 - 4.9 | 급격히 심폐 기능을 높이는 트레이닝입니다. |
5.0 | 신체에 무리를 줍니다. |
트레이닝 상태

트레이닝 상태는 트레이닝 효과를 평가합니다. 트레이닝이 체력 수준과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줍니다. 트레이닝 상태 정보를 사용하여 체력 수준을 향상할 수 있습니다.
1. 트레이닝 상태
[NO STATUS] | VO2MAX를 일주일에 두 번 이상 업데이트하는 달리기(최소 10분)에 대해 데이터가 필요합니다. |
[DETRAINING] | 권장 수준보다 낮은 강도의 트레이닝을 1주일 동안 트레이닝을 계속하여 체력 수준에 영향을 줍니다. 트레이닝 강도를 늘려 해결합니다. |
[RECOVERY] | 회복을 위해 트레이닝 강도를 가볍게 합니다. 이는 하드 트레이닝을 할 때 필요합니다. 회복되었다고 생각되면 트레이닝 강도를 늘립니다. |
[MAINTAINING] | 체력 수준을 유지하는 데 적합한 트레이닝 강도입니다. 더 나은 효과를 위해 다른 유형의 트레이닝을 시도하거나 트레이닝 양을 늘립니다. |
[PRODUCTIVE] | 이 상태를 유지합니다. 이 트레이닝 강도는 체력 단련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거나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함입니다. 이 상태를 유지하려면 트레이닝 사이에 회복 시간 일정을 잡습니다. |
[PEAKING] | 이상적인 상태입니다. 트레이닝 강도를 줄여 이전 트레이닝에서 회복하고 보완할 수 있습니다. 이 최고 상태는 단시간 동안만 유지될 수 있으므로 트레이닝 계획은 다음 트레이닝 세션을 고려해야 합니다. |
[OVERREACHING] | 이 상태는 높은 트레이닝 강도를 나타내므로 비생산적입니다. 휴식이 필요합니다. 저강도 트레이닝을 포함하여 회복 시간을 만듭니다. |
[UNPRODUCTIVE] | 트레이닝 수준은 좋지만 체력 수준은 떨어집니다. 신체적 회복이 어렵습니다. 스트레스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고, 좋은 영양 상태를 유지하며,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
2. 체력 수준 *1
(기호 없음) | 효과 없음 |
![]() |
감소 |
![]() |
유지 |
![]() |
증가 |
*1 VO2MAX의 장기적 변화에 따른 트레이닝 생산성을 나타냅니다.
3. 트레이닝 강도 *2
(기호 없음) | 효과 없음 |
![]() |
감소 |
![]() |
유지 |
![]() |
증가 |
*2 장기적 트레이닝 강도에 따른 트레이닝 생산성을 나타냅니다.